집념의 감독이 만든 집념스러운 영화 <위플래쉬> 줄거리 감상평
<위플래쉬>줄거리
재즈 드러머가 꿈인 앤드류 네이먼(마일스 텔러)은 셰이퍼 음악학교 신입생입니다. 이 학교의 스튜디오 밴드를 플레처교수(J.K. 시몬스)가 운영하는데 악명 높기로 유명합니다. 이 밴드에서 실력을 인정받으면 앞으로 연주자의 길을 순탄하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플레처 교수의 눈에 들게 된 앤드류는 밴드의 드럼 연주자로 발탁이 되는데 교수법이 무자비하고 까다롭고 먼지만큼의 실수도 용납되지 않습니다. 조금의 실수라도 하게 되면 따귀세례에 의자가 날아다니고 인격모독에 가족까지 모욕하며 정신을 차릴 수 없을 만큼 자존감을 깎아내립니다.
앤드류의 목표는 오직 하나. 플래처 교수에게 인정받는 것, 그래서 그의 스튜디오 밴드 드럼연주자 출신이라는 명함을 갖는 것입니다. 그래서 모진 정서적, 신체적 학대를 견디며 완벽한 실력을 갖추기 위해 피를 흘리며 극한의 연습으로 자신을 몰아붙입니다. 그러나 본의 아니게 교통사고로 경연에 차질을 빚으면서 목숨처럼 여기던 밴드에서 탈퇴당하고 교수에게 폭주하다 학교에서마저 제적을 당하며 연주자의 꿈이 좌절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후 압도적인 능력으로 누구도 넘볼 수 없던 자리에 있던 플레처교수도 교수직에서 해임되는 일을 겼습니다. 플레처의 가혹행위로 인한 제자가 자살하면서 앤드류의 증언까지 더 해졌기 때문입니다.
시간은 흘러 각자의 삶을 살다 마주치게 된 교수와 제자. 플레처는 카네기 홀의 연주를 앞두고 있다며 앤드류에게 드러머 자리를 권유하게 되고 다시 연주할 수 있게 됐다는 희망에 부푼 앤드류는 곧 플레처의 함정에 빠진 걸 깨닫게 됩니다.
집념의 감독이 만든 집념스러운 영화
이 영화의 감독 데미안 셔젤은 본인의 영화에 확실한 자신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영화를 한편 완성하는 데에는 감독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될 수 없는 일입니다. 제작사의 투자가 있어야 하는데 투자자가 나서지 않아 촬영을 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감독은 먼저 이영화를 저예산 단편영화로 만들어 이목을 집중시키는 데 성공하고 나중에 투자를 받아 촬영을 했다고 합니다.
영화 전체를 관통하는 메세지와 분위기가 바로 '집념'인데 벌써 감독 자체가 집념의 아이콘이 아닌가 합니다.
영화에 빠질 수 밖에 없는 매력요소는 바로 두 배우의 혼신의 연기입니다. 특히 주인공 마일스 텔러는 드럼 연주가 가능한 배우였습니다. 영화 속 드럼 연주 연기는 연기가 아니었다고 합니다. 실제 배우의 실력이었고 실제 연주였으니 그의 혼신의 연습장면이라던가 무대에서의 연주 장면이 혼을 빼놓을 정도로 몰입감 있게 연출됐던 건 당연한 결과였습니다.
그리고 악마같은 교수 플레처를 연기한 J.K. 시몬스는 영화 초반부터 미친듯한 카리스마로 모두를 꼼짝 못 하게 만드는 마력의 연기를 펼쳤습니다. 시종일관 검은 옷에 민머리를 하고 잡아먹을듯한 눈빛에 찔러도 피 한 방울 나올 것 같지 않고 상대방의 피마저도 말려버릴 것 같은 연기는 마일스 텔러와 완벽한 합을 이뤄 극도의 긴장감을 연출하였습니다.
집념의 감독과 집념스러운 두 배우의 미친 집념의 영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상평
괜찮은 음악 영화는 극장에서 봐야 한다는 개인적인 지론이 있습니다. 바로 사운드 때문입니다. 음악을 주제로 한 영화는 음악에 흠뻑 빠질 수 있어야 제대로 된 감상이 가능합니다.
그런 이유로 극장에서 관람한 이 영화는 재즈 음악에 빠졌다기보다는 드럼을 향한 미친듯한 집념에 흠뻑 빠졌다 나왔다고 해야 할까. 숨쉬기 힘들 정도의 긴장감에 어깨가 다 뻐근할 지경이었습니다.
앤드류가 경연에 늦지않게 참가하려고 고군분투할 때 마치 내손에 땀이 날 정도로 같이 긴장하고 있다가 갑자기 교통사고가 나는 장면에서는 얼마나 화들짝 놀랐는지 내가 영화에 얼마나 집중하고 있었는지 다시금 깨달았을 정도였습니다.
사람이 임계점을 넘는다는게 무엇인지 이 영화를 보면 바로 알 수 있습니다. 한 분야에 꿈을 가지고 시작해서 인정받고 목표가 되고 그 목표를 향해서 달리다 보니 내 주위 아무것도 눈에 들어오지 않고 오직 그 한 가지를 쟁취하기 위해 전력을 다 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간접경험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영화 마지막 카네기홀 연주 장면은 압도적이었습니다. 앤드류는 플레처가 파놓은 함정에 빠져 무대에서 공개 망신을 당해야 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드럼 연주자로서의 꿈은 완전히 접어야 할 위기였습니다. 그런데 이대로 도저히 집으로 돌아갈 수 없었습니다. 아버지의 "집에 가자"라는 말이 각성을 일으켰다고 봅니다. 그 말을 듣고 앤드류의 눈빛이 달라지는 게 보였으니까 말입니다.
그간 했던 노력과 흘렸던 피, 땀, 눈물이 있고 나의 쌓아온 실력이 있는데 도저히 발길이 떨어지지 않았을 것입니다. 플레처도 망하고 나도 망하는 한이 있더라도 꼭 한 번은 보여주고 떠나겠다는 심정이 아니었을까 합니다. 복수심으로 활활 태운 드럼연주가 뜻밖에 플레처와 음악적 화합을 이루게 되고 혼신의 명연주를 마치고 서로를 바라보는 알 수 없는 눈빛을 끝으로 영화는 막을 내렸지만 여운은 끝나지 않은 명작 영화였습니다.
'문화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디 머큐리 자전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줄거리 감상 포인트 (1) | 2024.01.13 |
---|---|
영화 가위손 줄거리 주제 감상평 (0) | 2024.01.03 |
봉준호 감독 영화 <기생충> 줄거리 작품성 (0) | 2023.12.17 |
영화 타이타닉 줄거리 작품성 업적 (0) | 2023.12.10 |
영화 <블루 재스민> 줄거리 케이트 블란쳇 연기 감상평 (0) | 2023.12.02 |
댓글